안녕하세요 여러분!
시간은 참 빠르고, 눈 깜짝할 사이에
지나가 버리는 것 같아요. 제가 세운 올해 목표는
건강을 위해서 매일 꾸준히 운동을 하는 것 인데요.
그래서 아직까지 매일 운동을 하러 헬스장에
가는 것을 잘 지켜내고 있는 중이에요.
그런데 얼마전에 데드리프트 운동을 하다가
허리에 잠깐 무리가 갔었어요.

무게를 들고 있는 상태에서 허리에 무리가
가니까 금방 꺾여버리더라구요.
그래서 허리가 조금 욱신욱신 거려서
파스만으로는 해결이 안되길래
허리보호대를 알아보게 됐어요.
허리를 지지해주고 받쳐주면 확실히 통증도 덜하고
바른자세유지도 도움되겠더라구요

이것저것 알아보다가 직장선배가 본인 허리
삐끗했을 때 착용했던 의료용 허리보호대를
추천해줬는데 내 상황과 내 상태에 맞게
커스텀을 할 수 있는 보호대가 있다길래
바로 주문했어요!

예전에도 허리가 아팠을 때 이렇게 생긴
보호대를 잠깐 사용했던 적이 있는데요.
얼마 안썼는데도 불구하고 금방
흐물흐물 늘어나버리더라구요.
그래서 주문 전까지도 긴가민가했었는데 확실히
후기처럼 실제로 보니까 탄탄하고 소재도 고급져보여요.

구성품은 이렇게 들어 있어요!
보호대 본체, 지지대, 보조밴드, 설명서에요.
지지대가 있는 보호대는 처음이라 조금 당황했는데요.
확실히 설명서를 읽어보니 어떻게 쓰면 될지
감이 잡혀서 더 편하겠다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이 의료용 허리보호대의 장점이라고 하면 바로
종류별 지지대가 아닐까 싶은데요.
세 가지 종류로 나뉘어져서 들어 있어
상황에 맞게 골라서 끼워주면 나에게 맞게 사용 할 수 있어요.
그래서 커스텀이라고 하는 것 같아요.
세 가지 종류는 강화 플라스틱, 알루미늄 스프링,
고강도 강철 이렇게 세 가지로 이루어져 있는데요.

먼저 강철 지지대는 적당히 단단하면서 밀착력이 좋고
활동력도 좋아서 어느 상황에든 모두 쓰기 좋아요.
알루미늄 스프링은 유연성이 뛰어난게 장점인데요.
밀착력이 매우 우수해서 움직임이 많거나
동적인 행동을 할 때 좋겠더라구요.
강화 플라스틱은 가장 강력한데요.
매우 단단하고 지지력이 높아서 허리의
자연스러운 C커브곡선을 자연스럽게 유지해주어요.
장시간 서있거나 앉아있을 때 도움이 많이 됐어요.

저는 주로 오래 서있는 일을 하기 때문에
강화 플라스틱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어요.
그래서 교체할 일이 거의 없지만 시범을 보여드릴게요.
홈의 아랫부분을 손가락으로 슥 밀고
다른 한쪽 손으로 조금씩 잡아 빼주면 쉽게 빼고 넣고가 가능해요.
그래서 어르신들도 쉽게 착용할 수 있을 것 같네요.

허리를 딱 잡아주기 위해서는 잘 늘어나고,
늘어나면서 허리를 감쌀때 잘 잡아주어야 되는데요.
강한 지지대와 좋은 원단으로 되어 있어서
밀착감도 좋고 편안한 착용감이 좋았어요.
허리지지대는 잘못하면 어떤 것들은 딱딱한
지지대 부분이 밖으로 삐져나와서 배나
살을 찌르는 경우가 있었거든요.
아니면 까끌까끌해서 옷 위에 착용을 해도
사이로 스며드는 불편감도 있었구요.

그런데 확실히 의료용 허리보호대의 퀄이 좋아서 그런지
그런 부분은 염려하지 않아도 되겠더라구요.
또한, 이중으로 압박이 가능할 수 있게 되어 있어서
더 쎄게 착용하고 싶을 때는 엘라스틱 밴드를 당겨 주면
압박감이 더 높아집니다.
밸크로 역시 강력해서 후두둑 뜯어지는 일 없이
편하게 생활할 수 있었죠.

허리에는 자연스러운 곡선이 존재하는건 모두 알고 계시죠?
이 곡선은 약 26도 정도인데요.
이 보호대를 착용하면 허리의 자연스러운 커브인
26도가 유지돼요. 그래서 허리에 부담이 되는 압력이
자연스럽게 골반으로 분산이 돼 무리감을 줄여주더라구요.
허리는 한번 고장나면 고치기 쉽지 않기 때문에
잘 관리해주는 것이 가장 중요한데 이 보호대로
지지를 해주면 더 편하게 운동을 할 수 있고,
회복도 더 잘 될 것 같았어요.

착용을 하고 오래 생활을 하다가 보면
땀도 차고 냄새도 나고 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 의료용 허리보호대는 통기성이 우수해서 오래
생활을 해도 안에 땀이 찬다던가 하는 일이 없더라구요.
주문 하기 전에 내 몸에 맞게끔
사이즈를 맞추려면 줄자로 허리둘레를 잰 후에
사이즈를 고르시는걸 추천해드릴게요.

M사이즈부터 XL사이즈까지 존재하기 때문에
다양한 체형의 사람들이 모두 편하게 이용이 가능해요.
더불어 옷 안에 착용을 해도 겉으로 티가
잘 안날 만큼 잘 만들어진 점도 굿~!
부피가 작아서 간단하게 접어두면 어디서든
편하게 꺼내서 사용할 수 있어요.
확실히 허리를 짱짱하게 잡아주는 느낌이 들어서
통증이 많이 완화가 되고 관리가 되는 느낌이 들어요.

여러분들도 허리에 불편감이 있어서 딱 잡아주는
보호대를 찾고 계시다면 저는 이 커스텀 보호대
착용해보시기를 권해드리고 싶어요!
허리 보호대는 내 움직임에 맞게, 움직임이 적든 많든
상관없이 지지가 가능한 것이 좋기 때문에
의료용 허리보호대를 나에게 맞게 사용하는걸 추천할게요.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마사지기 직딩의 3개월 내돈내산 사용 후기! (0) | 2022.03.30 |
---|---|
새해 구강관리는 치실보단 구강세정기죠! (0) | 2022.02.09 |
맨날 눈 침침하다던 남편, OO 이거 하나로 끝냈어요 (0) | 2022.02.07 |
식이요법과 운동요법으로 고혈압 극복한 40대 이야기 (0) | 2022.02.03 |
30~50대, 4명중 1명은 '이것'을 앓고 있다 (0) | 2022.01.27 |